습한 장마철 빨래에서 쉰내가 날 때가 있죠.
빨래에서 쉰내가 나는 이유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1. 덜 헹궈진 세제 잔여물이 습기로 인해 오염
2. 세탁기통 내부 세균으로 인해서
3. 습기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옷장
그렇다면 이미 쉰내가 나는 빨래는
어떻게 세탁 해서 냄새를 제거해야 할까요?
1. 베이킹소다
베이킹 소다는 탈취와 세정에 탁월합니다.
세탁 시 사용하던 세제를 평소보다 덜 넣고
베이킹소다를 덜 넣은 양만큼 넣어주세요.
주의할 점
베이킹소다는 찬물에 잘 녹지 않으므로
미리 녹여서 부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부식 우려가 있는 금속 장식 옷이나
실크 소재는 세탁시 주의하셔야 합니다.
2. 구연산
구연산은 살균효과로 냄새를 제거하고
섬유유연제의 효과까지 톡톡히 볼 수 있습니다.
헹굼 단계에서 1스푼~2스푼 넣어주세요.
주의할 점
구연산은 강한 산성이기 때문에
너무 과한 사용은 세탁물이 상할 수 있고
철 제품 부식 우려가 있으니 주의하세요.
3. 식초
식초에는 미생물이나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성분이 있어 냄새를 잡아준답니다.
헹굼 단계에서 식초를 한 스푼 넣어주세요.
주의할 점
너무 많은 사용은 식초 냄새가 배일
우려가 있으나 적당한 사용 시
건조할 때 식초 냄새가 날아갑니다.
4. 건조방법
빨래 후 세균이 번식하기 전 빨리 꺼내어
건조하는 것이 좋습니다.
옷을 뒤집어 말리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며
빨래를 널 때 옷의 간격을 넓게 하고
빨래 사이사이에 신문지를 끼워 널으면
습기를 흡수해 빠르게 건조할 수 있습니다.
5. 세탁조 청소
어쩌면 빨래 냄새의 진짜 원인이
세탁조에 있을 수도 있습니다.
세탁조는 세균와 온갖 곰팡이들이 서식하기
좋은 환경을 갖고 있기 때문에
꾸준한 청소가 필요합니다.
세탁조 청소 방법은 인터넷에서
전용 제품을 사서 청소하는 방법이 있고
과탄산소다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세탁조에 온수로 가득 채운 후 과탄산소다를
넣고 세탁을 가동시키다가 일시정지하고
1~2시간 방치, 헹굼으로 돌려주면 됩니다.
청소가 끝나면 세탁기 뚜껑을 덮지 말고
반드시 건조시켜주세요.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풀이 잘 안생기는 섬유 종류와 보풀 예방 꿀팁 (0) | 2020.08.10 |
---|---|
제로웨이스트 실천! 필환경 시대에 동참하기 위한 생활 습관 (0) | 2020.08.09 |
넷플릭스 공포 영화 5편 추천! 여름밤을 시원하게 만들자 (0) | 2020.08.07 |
서울시 희망일자리 참여자 청년 5000명 모집 (0) | 2020.07.30 |
이 장치는 현재 사용 중입니다. USB 꺼내기 오류 해결방법 (3) | 2020.07.14 |
댓글